Air pollution control Act
Category: Legislative
Document Type: Law
Role: Main
North Korea's Air Pollution Prevention Law (2012, amended 2013)
The Law on Air Pollution Prevention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adopted by Decree No. 2520 of the Presidium of the Supreme People's Assembly on July 11, 2012, and amended by Decree No. 3292 of the Assembly Standing Committee on July 24, 2013, aims to prevent and control air pollution to protect human life and health and improve the ecological environment by establishing strict systems and order. The law applies to all institutions, enterprises, organizations, and citizens within the DPRK, as well as permanent representative offices of other countries or international organizations, foreign-invested enterprises, and foreigners residing in the country. Key obligations include the strict monitoring of air pollution levels and sources by national and central land and environment protection agencies, which must establish monitoring networks and points. Institutions, enterprises, and organizations operating air pollutant emission facilities (such as boilers and industrial furnaces) must regularly measure, record, and periodically report the type, concentration, and amount of pollutants emitted. They must strictly comply with emission standards set by the Cabinet, and facilities exceeding these standards cannot be operated. All entities and citizens are obligated to report severe air pollution incidents threatening life, health, or the environment. Entities planning new construction, expansion, or renovation must conduct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s regarding potential air pollution and obtain approval from the land and environment protection agency. Relevant agencies and entities must equip themselves with modern measurement means for scientific monitoring, which must be verified by metrology agencies. Meteorological and hydrological agencies are required to forecast and disseminate information about special meteorological phenomena like yellow dust, acid rain, and temperature inversion. The State encourages systematic investment in air pollution prevention, prospective and systematic planning, strengthening scientific research, adopting advanced technology, and developing international exchange and cooperation in this field. A significant principle outlined is the encouragement of the gradual reduction in the use of fossil fuels, which are identified as causes of air pollution and climate change. Concurrently, the State encourages the active development and use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cluding hydro, wind, solar, geothermal, tidal power, and biofuels. The law also emphasizes the principle of mass participation, encouraging citizens to consciously participate in protecting the atmospheric environment through education. The law does not specify fixed deadlines or compliance dates beyond the requirement for periodic reporting and the immediate prohibition of operating facilities that exceed emission standards.
How Climate Copilot helps
- Get alerts when policies like this change or new ones appear in your sector.
- Ask AI to summarise, extract obligations, and answer questions — with citations.
- Organise notes and your own documents alongside the source material.
No signup needed.
Full text: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기오염방지법 주체 101(2012)년 7월 11일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정령 제2520호로 채택 주체 102(2013)년 7월 24일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정령 제3292호로 수정보충 제1장 대기오염방지법의 기본 제1조 (대기오염방지법의 사명)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기오염방지법은 대기오염의 감시, 대기오염물질의 배출 및 정화, 대기환경의 보호에서 제도와 질서를 엄격히 세워 인민들의 생명과 건강을 보호하고 생태환 경을 개선하는데 이바지한다. 제2조 (정의) 이 법에서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1. 대기오염물질이란 대기를 오염시켜 사람의 건강과 생태환경에 나쁜 영향을 주는 유해로 운 물질이다. 2. 대기오염감시란 대기환경 또는 대기오염물질의 배출량과 농도분포, 그 변화상태를 측정 하는 사업이다. 3. 대기오염물질배출시설이란 대기오염물질을 대기에 내보내는 시설이다. 4. 대기오염물질정화시설이란 대기오염물질배출시설로부터 나오는 대기오염물질을 정화하 는 시설이다. 제3조 (대기오염방지사업에 대한 투자원칙) 대기오염방지사업은 대기환경을 개선하여 인민들의 생명과 건강을 보호하고 그들에게 위생 문화적인 생활환경과 조건을 마련하여주기 위한 중요한 사업이다. 국가는 대기오염방지사업에 대한 투자를 계통적으로 늘이며 대기오염방지사업을 전망성있게 계획적으로 하도록 한다. 제4조 (대기오염감시원칙) 대기오염감시를 강화하는 것은 대기오염을 막기위한 선차적 요구이다. 국가는 대기오염 감시체계를 정연하게 세우고 감시방법을 개선하여 대기오염감시를 과학적 으로 하도록 한다. 제5조 (대기오염물질의 배출 및 정화원칙) 국가는 대기오염물질의 배출기준을 바로 정하고 정화대책을 철저히 세워 대기오염 물질의 배출량을 극력 줄이도록 한다. 제6조 (재생에네르기개발과 리용의 장려원칙) 국가는 대기오염과 기후변화를 가져오는 화석연료의 리용을 점차적으로 줄이고, 수력과 풍 력, 태양에네르기, 지열, 조수력, 생물연료를 적극 개발, 리용하는 것을 장려하도록 한다. 제7조 (전군중적인 대기환경보호원칙) 국가는 인민들속에서 사회주의애국주의교양과 과학지식보급을 강화하여 그들이 대기환경을 보호하는 사업에 자각적으로 참가하도록 한다. 제8조 (대기환경보호과학연구사업 원칙) 국가는 대기오염을 막고 대기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과학연구사업을 강화하고 앞선 과학기술 의 성과를 널리 받아들이며 과학연구사업에 필요한 조건을 충분히 마련해주도록 한다. 제9조 (교류와 협조강화원칙) 국가는 대기오염방지분야에서 다른 나라, 국제기구들과의 교류와 협조를 발전시킨다. 제10조 (법의 적용대상) 이 법은 기관, 기업소, 단체와 공민에게 적용한다. 우리 나라에 주재하는 다른 나라 또는 국제기구의 상주대표기관, 외국투자기업과 외국인에 게도 이 법을 적용한다. 제2장 대기오염의 감시 제11조 (대기오염감시체계와 수립) 국토환경보호기관은 전국적인 대기오염감시망을 형성하고 대기환경에 대한 오염상태를 엄격 히 감시하여야 한다. 대기오염감시를 위하여 중앙과도, 그 밖의 필요한 지역에 대기오염감시지점을 설치한다.
Tags: Air Pollution, Biofuels, Climate Change, Climate Protection, Compliance, Energy Demand, Energy Supply, Environmental Degradatio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Fossil Fuels, Fossil Fuels Curbing Measures, Geothermal, Health, Hydro, Industry, Institutions / Administrative Arrangements, Investment, Mitigation, Policy, Regulation, Renewable Energy, Renewables, Research, Solar, Wind
Sector: Energy;Health